China Japan Korea Russia
 
UNEP지역해프로그램
NOWPAP약사

NOWPAP조직도

NOWPAP사무국

 
 

북서태평양해양환경보존실천계획(NOWPAP)은 1994년 중국, 일본, 대한민국, 러시아 4개국이 UNEP 지역해프로그램의 일환으로서 채택하였습니다.  

그 연원은 1991년 “북서태평양 지역해 실천계획을 개발하기 위한 4개국 전문가 및 정부대표간 준비회의(러시아 블라디보스톡)”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NOWPAP 활동은 회원국이 출연한 신탁기금으로 운영됩니다.  

NOWPAP 최고의결기구는 NOWPAP정부간회의이며 NOWPAP활동 전반에 걸친 정책적 가인드라인을 제시하고 각 종 정책결정을 의결합니다. 정부간회의는 회원국의 고위급대표들로 구성되어 1년에 한번씩 개최됩니다.  

정부간회의 의결에 따라 2000년과 2002년 사이에 4개의 지역활동센터(Regional Activity Centre, 약칭 RAC)가 설치되었고, 지역활통센터는 각각 고유한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NOWPAP의 사무국(Regional Coordinating Unit, 약칭 RCU)은 2004년 11월, 일본 토야마와 대한민국 부산에 공동으로 유치되었습니다.

 

연도

내용

1994

1차 정부간회의 (한국 서울)
- 북서태평양 해양보전 실천계획 채택 (5대 우선사업 등 3개 결의안 채택)

1999

4차 정부간회의 (중국 베이징)
 - 4개 지역활동센터 (RAC) 설립 결정

2000

6차 정부간회의 (일본 동경)
 - 일본 토야마와 한국 부산에 사무국(RCU) 공동유치 합의

2002

7차 정부간회의 (러시아 블라디보스톡)
  - 사무국 개소를 위한 세부계획 승인
지역활동센터(RAC) 활동 본격화

2003

8차 정부간회의 (중국 하이난)
 - NOWPAP역내 유류오염 방제대책 채택

2004

NOWPAP RCU 개소
북서태평양지역 유류오염 대비ㆍ대응을 위한 지역협력 양해각서 체결

2005

10차 정부간회의 (일본 토야마)
 - RAC 신규활동방향 승인
 - 역내 유류오염긴급방제대책 적용대상해역 확대
 - 신규사업(해양쓰레기) 승인

2006

11차 정부간회의 (러시아 모스크바)
 - NOWPAP 데이터 및 정보공유 정책 채택
 - NOWPAP RAC의 실적을 평가하기로 함

2007

12차 정부간회의 (중국 하문)
 - NOWPAP 해양쓰레기 실천계획 (RAP MALI) 원칙적 승인
 - NOWPAP 유류 및 위험유해물질 긴급방제계획(안) 합의

2008

13차 정부간회의 (한국 제주)
 - NOWPAP 유류 및 위험유해물질 긴급방제계획 채택
 - NOWPAP 지역활동센터 2008-2011 사업추진방향 승인

2009

14차 정부간회의 (일본 토야마)
- 역내 해양생물종다양성에 대한 초동평가 실시
- NOWPAP 중장기전략 수립
- NOWPAP 해양쓰레기저감실천계획 2010-2011년도 사업 및 예산안 의결
-사무국 기능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