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a Japan Korea Russia
 
 
 
 

NOWPAP 리모트센싱데이타 분석기술 교육과정

제 2회 NOWPAP 리모트센싱테이타 분석기술 교육과정이 NOWPAP CEARAC과 한국해양연구원 공동주최로 11월 1일부터 5일간 국립제주대학교에서 있었습니다.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프랑스, 태국의 해양과학분야 박사후과정생, 연구자, 지방공무원중 선정된 23인의 피교육자들은 NOWPAP 4개회원국 및 독일, 인도, 미국에서 온 12인의 강사들로부터 북서태평양지역 해양환경 모니터링과 환경영향평가시 리모트센싱을 응용하는 기술을 전수받았습니다.

(2008년 11월 28일) 

 

제 3회 Yellow Sea Partnership 워크샵

NOWPAP 사무차장은 지난 11월2일 창원에서 열린 제 3회 Yellow Sea Partnership 워크샵에 참석하였습니다. 20개 황해환경보존단체에서 온 30명의 참석자들이 각자 소속기관의 활동내역을 발표하는 가운데 NOWPAP은 해양쓰레기사업, 유해적조번무 연구, 유류유출사고시 비상대응체계 수립, 연안역통합관리 등을 소개하였습니다.

참가자들은 차기(2009년) 회의를 중국에서 개최할 것을 제안하였습니다. (1회는 중국, 2회는 부산에서 개최)

(2008년 11월 4일) 

 

제 13차 NOWPAP 정부간회의 개최

제 13차 NOWPAP정부간회의가 10월 20-21일, 양일간 한국, 제주도에서 개최었었습니다. NOWPAP 4개 회원국 대표가 참석하고 UNEP본부 (해양생태계 및 GEF관련부서), COBSEA, PEMSEA, YSLME 등 역내 유관기구에서도 배석한 가운데 (IOC/WESPAC과 PICES는 협력성명서 대독으로 갈음함), 2007-2008 사업계획을 심사하고 전년도 사업보고서와 NOWPAP지역내 유류 및 유해독성물질 유출사고 대응계획 그리고 NOWPAP 지역활동센터의 2008-2011 운영방향을 승인, 채택하였습니다. 또한 RAP MALI의 이행을 위해 배전의 노력을 다하여 줄 것을 요청하였습니다. 차기 회의는 2009년 일본에서 개최될 예정입니다.

(2008년 10월 29일) 

 

2008 NOWPAP 국제 연안정화행사 및 워크샵

2008년 3월, 4개 NOWPAP회원국의 승인과 동시에 착수된 NOWPAP 해양쓰레기저감 실천계획 (약칭 RAP MALI)의 일환으로 2008 NOWPAP 국제 연안정화행사 (ICC) 및 교육훈련워크샵이 26-28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에서 열렸습니다. 회원국과 NOWPAP지역활동센터는 물론 역내 협력기구인 COBSEA, YSLME 그리고 1986년부터 ICC를 주관해온 Ocean Conservancy의 대표들이 참석하였고 러시아의 학생, 비정부단체, 언론매체 등 일반대중의 참가도 이어졌습니다.

26일 교육훈련워크샵에서는 12인의 주제발표자가 자국의 연안정화행사 사례 및 동아시아(동북아 및 동남아)역내 해양쓰레기 저감활동을 소개하였고 Ocean Conservancy에서는 “ICC행사의 상시적/범세계적 실시계획”을 알렷습니다. 27일에는 블라디보스톡 Schitovaya Bay에서 ICC현장교육이 있었는데 50명의 참가자가 40킬로그램의 쓰레기를 수집하엿습니다. 현장교육에 이은 분임토의시간에는 연례ICC활동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며 NOWPAP ICC활동 3년차인 중국과 러시아의 지속적 참여를 독려하였습니다.  

워크샵과 현장교육이 끝난 28일에는 실무자회의가 소집되어 RAP MALI현안 및 2008~2009년 계획에 대해 심도있게 토의하였습니다

(2008년 10월 13일) 

 

중국 대련 연안정화행사

NOWPAP지역 해양쓰레기 저감실천계획의 일환으로 국제연안정화행사(International Coastal Cleanup)가 지난 9월11일, 중국대련에서 개최되었습니다. 대련시를 위시하여 중국의 각급관공서, 관련산업체, 대학, 시민단체에서 수백명의 자원봉사자가 참여하였으며 해외에서는 일본, NOWPAP사무국 그리고 ICC주무기관인 Ocean Conservancy에서도 참가하여 해변과 해안에서 백킬로그램이 넘는 해양쓰레기를 수거하였습니다.

행사직전에는 중국국가환경보호부가 주최한 해양쓰레기 관련 학술회의가 열려 관련 정부부처 (농무부, 해사안전부, 국가해양국) 간 대처실태를 공유하는 한편 일반대중의 경각심을 고취시켰습니다. 행사이후 열린 ‘해양쓰레기 저감/관리를 위한 국제웍샵’에는 Ocean Conservancy부회장도 참석하였는데 Ocean Conservancy가 중국 해양쓰레기 행사에 참가한 것은 이번이 최초입니다. 올해 ICC행사는 대련뿐 아니라 상하이 등 중국각지에서도 실시되었거나 실시될 예정입니다.

(2008년 9월 19일) 

 

제2회 NOWPAP 유류유출사고 대응훈련

2006년 사할린에서 러시아와 일본이 공동주과한 제1차 훈련에 이어 제2회 NOWPAP 유류유출사고 대응훈련이 9월 2일 중국 칭따오에서 실시되었습니다. 중국해사안전국과 한국해양경찰이 2008 NOWPAP사업의 일환으로 한중 유류유출사고 공동대응역량을 점검하고자 공동주최한 본 행사에는 한국측 선박 2척 등 24척의 선박, 항공기, 헬리콥터가 동원되었습니다. 본 훈련은 중국내 16개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관련산업체 (총 500여명)와 NOWPAP사무국, NOWPAP방재지역활동센터는 물론 국제해사기구, 일본해경과 싱가폴 방재전문기업 관계자도 참관하였습니다.

 

본 훈련은 엔진실 전기회로 이상으로 화재가 발생, 선박이 중심을 잃고 인근에 정박중에 유조선에 충돌한 경우를 개연성있는 사고로서 설정하였습니다.  유출유 1000톤의 방제를 맡은 방제파트와 선원들의 구출을 맡은 구조파트는 제각기 맡은 바 소임을 한치의 오차없이 수행해냈는데 이 과정은 중국언론에 의해 취재, 보도되기도 하였습니다.

(2008년 9월 10일) 

 

 

NOWPAP사무국 공석공고

UNEP는 2009년 4월 1일부터 NOWPAP사무국에서 Administrative Officer (일본 토야마사무소 주재)와 Scientific Affairs Officer (부산사무소 주재)로 일 할 인재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접수마감은 각각 10월 14일과 17일입니다. 보다 자세한 공고내용은 이곳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08년 8월 19일) 

 

 

NOWPAP지역활동센터 08-09 신규사업

지난 4-5월중 DINRAC, MERRAC, POMRAC등 3개 지역활동센터는 3월중 실무담당자회의를 이미 개최한 CEARAC이어 각각의 실무담당자회의를 열었습니다. 이로서 NOWPAP 지역활동센터 모두는 작년 한 해 동안의 실적평가 및 2008-2009년도 사업계획 심의를 마쳤습니다. 그 결과 4개 센터는 기존과업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신규사업 수행의무를 부여받았습니다:

•   회원국들이 역내 해양환경지표 데이터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인터넷통신시스템을 진일보시켜 역내 해양환경정보센터로 발전;

•   NOWPAP지역에서의 유해적조번무 사례연구 및 통합 유해적조번무 정보사이트 구축, 연안부영양화 평가절차/기준 수립, 제2차 원격정보분석기술 교육훈련과정 수행;

•   제2차 유류유출사고 공동대응훈련 (장소: 중국 칭다오) 및 작년 12월 한국에서 발생한 태안유류유출사고 방제경험을 공유하기 위한 지역워크샾 개최;

•   유독성물질을 기존 NOWPAP유류유출사고 비상대책에 포함시키고 유독성물질 방제작업 가이드라인, 교육훈련교범를 개발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것;

•   제 센터가 공조하여 연안역통합관리사업 관련조치를 취하되 PEMSEA와 같은 역내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2009 East Asian Seas Congress회기중 관련워크샾이 부대행사로서 개최되도록 할 것;

•   NOWPAP 해양쓰레기 행동계획을 집행할 것

(2008년 6월 25일) 

 

 

UNEP 사무차장, NOWPAP사무국(토야마사무소) 방문

UNEP 사무차장 (Angela Cropper)은 5월 31일 NOWPAP사무국 (토야마 사무소)에 방문하여 NOWPAP의 활동상황을 보고받고 사무국 직원들과 의견을 교환하였습니다.

크로퍼 사무차장은 토야마 체류기간중 토야마 현 정부와 토야마 시청에도 내방하여 현지사와 시장에게 NOWPAP사무국 토야마 사무소에 대한 지원에 사의를 표하는 한편 자원재활용단지인 ECO TOWN에도 들러 자동차 재활용과정을 견학하였습니다.

크로퍼 차장의 이번 일본방문은 5월 28일부터 30일까지 요코하마에서 개최된 동경국제아프리카개발회의(Tokyo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frican Development)에 참석하기 위한 것으로 토야마 사무소 방문전에는 오사카에 소재한 또다른 UNEP산하 조직인 IETC에도 들렀습니다.

(2008년 6월 9일) 

 

역내 유관기관과 협력강화

NOWPAP은 최근 개최된 일련의 국제회의 참석을 통해 역내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였습니다.

4월 7일에서 10일중 70개국 400명이 참가한 제 4회 Global Conference on Oceans, Coasts and Islands에서 NOWPAP은 그간의 활동상황을 보고하면서 유관기관에게 Integrated Coastal and River Basin Management (ICARM)분야의 전문가 의견을 공유해줄 것을 요청하엿고 그중 PEMSEA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습니다.

4월 23일에서 25일중 열린 2008 International Coastal Cleanup Conference에서는 세계각국의 ICC조정관 등 60명의 참석자에게 NOWPAP의 해양쓰레기사업 실적과 계획을 소개하면서 해양쓰레기 관련NOWPAP간행물을 배포하였습니다. ICC의 주창자이자 주도기관인 The Ocean Conservancy는 올9월로 예정된 NOWPAP해양쓰레기 교육훈련과정에 전문가를 파견하여 NOWPAP지역 ICC진작에 일조할 의사를 확인하였습니다.

한편 5월 1일부터 3일동안 UNEP/IOC Operational Guidelines on Survey and Monitoring of Marine Litter초안을 심의한 UNEP/IOC Technical Working Group meeting에서는 NOWPAP의 해양쓰레기 모니터링이 소개되었는데 동 워킹그룹은 OSPAR, HELCOM 및 NOWPAP이 축적한 노하우를 상기 가이드라인 수립에 반영하기로 하였습니다.

또한 NOWPAP은 오는 5월 21일부터 5일간 개최될 제7회 IOC/WESTPAC International Scientific Symposium (부제: Nature Hazards and the Changing Marine Environment in the Western Pacific)과 NEAR-GOOS Coordinating Committee 2차 세션에 참가하여 역내 타기관과 협조를 다질 예정입니다. 양 행사는 제 7회 Intergovernmental Session of the IOC Sub-Commission for the Western Pacific (5월 26-29일)과 더불어 열리는데 NOWPAP의 실적 및 계획발표가 행사취지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2008년 5월 14일) 

 

 

NOWPAP 해양쓰레기 사업에 대한 대외 인지도 향상

2005년 NOWPAP 해양쓰레기사업을 시작한 이래  해양쓰레기 문제를  지속적으로 강조해왔고  최근 NOWPAP 해양쓰레기 활동은 북서태평양 이외 지역에서 널리 주목받기 시작하였습니다.  최근 배포된 The Ocean Conservancy의 2007년도 연보, 2007 International Coastal Cleanup (ICC) report는 NOWPAP 4개 회원국의 참여 특히, 최근 ICC행사에 참여한  중국과 러시아를 높이 평가하고습니다. 중국은 2006년 이후 계속 ICC행사에 참여하고 있으며, 러시아는 2003년 처음 ICC행사에 참여하였으나 그 동안 참여하지 않고 있다 2007년에 행사를 재개하였습니다, 연보는 2007년 중국 상하이와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에서 열린 ICC행사는 UNEP NOWPAP 노력의 결실이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북서태평양 지역은 앞으로도 NOWPAP의 조력에 에 힘입어 ICC캠페인에 계속 동참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2008년 04월 25일) 

 

해양거버넌스 관련 신간안내

NOWPAP 협력기관중 하나인 PEMSEA는 지난 7일에서 11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제4회 Global Conference on Oceans, Coasts and Islands에서 “Securing the Oceans (부제: Essays on Ocean Governance – Global and Regional Perspectives)” 출판을 발표했습니다. 바다를 지속가능토록 개발함으로써 우리 후손에게 해양과 해양자원을 온전히 남겨주려는 취지의 이 책은 25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장마다 과학, 경제, 법, 교육, 행정, 해양산업 등 여러 분야 전문가들의 기고문을 하나씩 담고 있습니다. 여기를 클릭하시면 보다 자세한 소개를 보실 수 있고 주문은 PEMSEA온라인서점에서 하시면 됩니다.

      (2008년 04월 23일) 

NOWPAP데이터베이스, COBSEA지식베이스와 연계

NOWPAP은 최근 NOWPAP데이터베이스를 East Asian Seas Knowledgebase와 연계하여 보다 많은 지식정보가 공유되도록 COBSEA와  합의하였습니다. 현재는 NOWPAP에 관한 기본정보만이 COBSEA지식베이스에 반영된 상태이지만 조만간 NOWPAP데이터 및 정보네트워크 지역활동센터가 구축한 데이터베이스가 COBSEA지식베이스를 통하여 더 많은 이용자들에게 공개될 것입니다.

(2008년 03월 26일) 

 

CEARAC 2008-2009사업계획 확정

3월 6일에서 8일까지 일본 토야마시에서 제 6차 NOWPAP 특별모니터링 및 연안환경평가 지역활동센터 (CEARAC) 실무담당자회의가 개최되었습니다. 본 회의와 연계하여 7일에는 제 1차 연안 환경평가 워크샵이 열렸습니다. 

본 회의에서 특별모니터링 및 연안환경평가 지역활동센터(CEARAC)의 2008-2009년 사업내용이 논의되었으며, 업무계획과 예산안이 채택되었습니다. 향후 2년간 주요 사업분야는 아래와 같으며, 모든 사업활동은 UNESCO-IOC, PICES, IOC-WESTPAC, NEAR-GOOS, YSLME등과 같은 역내외 유관기관과 긴밀한 연락과 협조하에 추진될 것입니다:  

-   NOWPAP회원국의 유해적류번무(HAB)에 대한 시범사업
-   HAB통합웹사이트 구축, NOWPAP회원국과 관련 사업 및 기관에서 발행된 최근 연구결과 정리 및 상호 공유체제 수립
-   해양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원격탐사자료 활용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
-   제2차 원격탐사자료분석 훈련과정을 관련기관과 공동으로 실시
-   부영양화 평가방법 개발 (육상기인 영양염 평가 포함)
-   NOWPAP해양쓰레기 실천계획 (RAP MALI) 이행 

CEARAC은 올 9월초 또다른 워크숍 개최를 준비하고 있늕데 (세부일정등은 추후 결정될 것임), 여기에는 HAB실무그룹과 원격탐사 응용실무그룹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여 CEARAC 사업추진에 대한 진척사항을 논의할 것입니다.

(2008년 03월 11일) 

 

태안유류유출사고시 NOWPAP 회원국 공동대응

작년 12월 7일 발생한 한국 역사상 최악의 유류유출사고 직후,  12월 10일 “NOWPAP지역 유류방제긴급계획”이 발동되어 NOWPAP 회원국(중국, 일본, 러시아)은 사고대응에 적극협력하였습니다. NOWPAP방제지역활동센터(MERRAC)와 사무국의 협력으로, 기름유출사고지역의 방제를 위해 중국은 방제인력과  방제물품(흡착포)을 지원하였고, 일본은 자국의 방제전문가팀을 급파하였습니다. 해상방제작업이 완료되고 현재 방제활동이 해안지역으로 옮겨감에 따라, 2008년 1월 14일, NOWPAP지역 유류방제긴급계획의  발효를 종료하였습니다.

여기를 클릭하시면 그간의 경과를 보다 자세히 아실 수 있습니다

NOWPAP은 유류유출사고의 심각성과 회원국간의 협력 필요성을 다시금 절감하며, 제2회 NOWPAP 유류유출사고공동대응훈련을 오는 10월 중국에서 실시합니다.

(2008년 01월 16일)